미국의 장기·단기 채권 금리차가 크게 벌어졌다. 언론에서도 이 것이 ‘위기의 징조’라며 연일 관련 기사를 쏟아내는 중이다. 그런데 채권의 기간에 따라 왜 금리 차이가 발생할까? 또 금리 차이가 벌어지면 왜 위험하고 위기라고 말하는 것일까?
당연히 알죠!
그런데 '채권'이 뭐였더라?
채권(債券)은 빚·부채를 의미하는 채(債)와 계약서를 뜻하는 권(券)이라는 말이 합쳐져 만들어진 용어다. 회사나 국가, 개인이 돈을 빌렸다는 사실을 적어두기 위해 만드는 증서인 것이다. 쉽게 말해 빚을 문서화한 증서라고 하겠다. 채권에는 얼마를 빌렸는지, 몇 퍼센트 금리로 이자를 줄 것인지, 언제까지 갚을 것인지가 적혀있다.
그렇다면 어떤 채권이 금리가 높을까?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기간’이 중요한 요소다. 돈을 빌려 간 사람이 하루 뒤에 갚기로 약속했다면 크게 불안하지 않을 것이다. 24시간만 기다리면 돈을 받아낼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런데 1년 뒤에 돈을 갚겠다고 하면 어떨까? ‘1년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데 내 돈 못 받는 거 아냐?’ 하는 생각이 들수 밖에 없다. 내 돈이 떼일 위험은 장기 채권일수록 더 크다. 그래서 이자율은 통상 장기채권이 더 높다.
물론 단기와 장기를 나누는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누군가에게는 하루도 굉장히 긴 시간이지만, 어떤 사람들은 1년도 금방 지나간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학에서는 통상 1년을 기준으로 단기와 장기를 나눈다. 중요한 세계경제 지표로 여겨지는 미국채권의 경우 통상 장기는 10년, 단기는 2년짜리 채권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3년짜리 채권과 91일짜리 채권을 비교해 살펴보는 경우도 있다.
여기까지는 전혀
어렵지 않다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진짜 위기다
채권금리는 왜 변동하나요?
그렇다면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바뀔까? 간단하게 말하면 수요와 공급이다. 사람들이 장기채권을 많이 사면 가격이 오르므로 금리(수익률)가 떨어지고, 단기채권이 많이 공급되면 가격이 내려가니 단기채권의 금리가 오른다.
수요와 공급은 시중에 풀려있는 유동성, 신용등급, 발행 규모 등 수많은 변수가 영향을 끼친다. 기준금리에 따라 바뀌기도 한다. 채권을 발행할 때도 기준금리를 참고하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오르면 채권금리 역시 상승한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장기금리와 단기금리가 항상 같은 속도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준금리는 모든 경제주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이 받는 영향이 다르다.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려 3%로 정했다고 가정해보자. 1년 뒤에 돌려받는 미국 채권상품은 아마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다. 채권 투자자들은 1년 뒤에도 최소한 미국 금리가 3% 내외일 가능성이 크니 채권금리도 그 정도는 되어야 살만하다고 판단할 것이다. 그래서 단기채권금리는 기준금리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하지만 장기채권은 다르다. 10년 뒤 미국의 기준금리가 얼마인지 예상할 수 있을까? 미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0%대 저금리 정책을 펼칠 수도 있고, 그 정반대일 수도 있다. 지금의 기준금리 인상이 10년 뒤에 끼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다.
장기채권 금리 = 경기 바로미터
투자자들은 현재의 상황을 놓고 10년 뒤 경기를 전망하려 애쓰며(?) 의사결정을 내린다. 경기 전망이 좋다면 사람들은 안정적인 채권을 팔아치우고 수익률이 높은 주식을 산다. 채권 수요가 줄면서 채권 가격이 내려가니까 채권금리가 오른다.
반대로 경기 전망이 어두우면 안정적인 채권을 사들인다. 주식과 달리 채권은 언제까지 이자를 얼마나 받는지 명확히 나와 있기 때문에 경기 전망이 암울하면 투자자들이 안전한 채권을 사는 것이다. 그렇게 채권을 사들이면 채권가격이 오른다(채권금리 하락).
공급요인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경제전망이 나빠지면 기업들은 채권을 찍어내려 하지 않는다. 앞으로 경제가 어떻게 흔들릴지 모르기 때문에 채권을 발행해서 차입하는 것이 망설일 수밖에 없다.
장기채권의 공급이 줄어들면 장기채권의 가격은 치솟게 된다. 즉 장기채권의 금리가 크게 하락하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경기 전망이 좋으면 장기채권 금리가 오르고, 경기 전망이 나쁘면 장기채권 금리가 내려간다.
금리가 오르고 내리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10년뒤 경기에 대한
시장의 전망은
무조건 맞다고 할 수 있을까?
'금리 역전'은 왜 발생하고,
무엇을 의미하나요?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의 금리가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다른 속도로 움직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단기채권 금리가 장기채권 금리보다 높은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리면서 단기채권 금리는 큰 폭으로 올랐는데, 경기 전망은 어두워 장기채권 금리가 조금만 오르거나 거꾸로 내려가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장·단기 채권의 금리가 역전되는 상황을 시장은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우선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면 금융기관에서 자금의 공급을 꺼려하게 되고 시장에 유동성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은행 등 금융기관은 채권(주로 단기채권)을 발행해 돈을 모으고 이걸로 대출을 해준다. 그런데 단기금리가 높고 장기금리가 낮으면 어떻게 될까? 비싼 돈으로 자금을 끌어 모았기 때문에 대출을 아무리 잘 운용하더라도 순이자마진이 줄거나 손해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금융기관은 자금공급을 꺼리고,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자금경색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역사가 증명하는 경기침체
무엇보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될 때면 실제로 큰 경기침체가 왔다. 자본시장 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경기침체는 1962년 이후 총 7차례 있었는데 1960년대를 제외한 6번의 사례에서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관측됐다.
첫 역전 현상 이후 5~23개월 이후 실제로 경기침체가 시작됐다고 한다. 1980년대 오일쇼크, 2000년대 닷컴 버블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큰 폭의 장·단기 금리 역전이 있었다.
최근 상황도 장·단기 금리 역전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25일 기준 한국채권 10년물과 3년물의 금리 차는 -0.067% 포인트이다. 장기채권보다 단기채권 금리가 더 높은 것이다. 지난 23일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는 -0.076% 포인트였다. 2008년 금융위기 때도 차이가 -0.011% 포인트였음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늘어난 것이다.
블룸버그는 이달 초 “장단기 금리차가 이번처럼 극단에 달한 것은 1981년 이후 본 적이 없다”며 “역사적으로 장단기 금리 역전은 경기 침체로 가는 길을 뜻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우리는 15년만에
장·단기 금리 역전이라는
경제 이벤트를 맞이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경기침체를 경험하게 될까
불황에도 살아남을 투자처
살아남을 기업들이
궁금해진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이 세상 모든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주가 전망, 반도체 불황 속 '역전골'을 노린다 (0) | 2022.12.02 |
---|---|
FOMC 발표, '의사록'의 의미를 되새기다 (0) | 2022.11.29 |
금 투자 방법, '이 방법'이 가장 유리합니다! (0) | 2022.11.27 |
양도세 비과세 요건, "이 것만 알면 됩니다!" (0) | 2022.11.26 |
위믹스 코인 상폐, '크립토 윈터' 또 한번 길어진다 (0) | 2022.11.26 |
댓글